키워드 정리 4
77-91p(14p)
3장. 실전 사례 : 고양이 스마트 장난감
이해하기
- 시장에 대한 이해
- 시장 정보와 전망을 다룬 각종 연구소의 보고서, 책 , 리서치 자료 조사
- 2013년 기준 국내 68만 가구 반려인, 120만 마리의 반려 고양이, 연간 2천억 원의 시장성 확인
- 해외의 경우 미국 3천만 가구, 일본 5백 5십만 가구 등 연간 50조원의 시장성 확인
- 생활 속의 관련 아이템 발견
- 시중에 고양이와 반려인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아이템들이 있는지?
- 보유 역량
- 스마트 기술을 포함해 보유하고 있거나 준비 중인 역량을 기준으로 조사 범위를 좁힘
- 경쟁력 여부
- 새롭게 제안한 아이템이 시장에 나왔을 때 경쟁력이 있는지
- 아이템 선별
- 고양이 장난감 카테고리 검토
- 전체 장난감 중 60%가 저가형 수동 낚싯대 장난감으로, 자동형 장난감에 대한 시장 수요가 있음을 확인
관찰하기
- 에스노그라피
- 사람과 있는 시간, 밤에 어떤 생활을 하는지 촬영해 관찰
- 온라인에 일기 형태로 다시 기록
- 이후 진행된 조사 활동에서도 인터뷰이나 관찰 대상자에게 생활 내용을 기록하도록 요청해 살펴 보았음
- 반려 환경이 다른 여러 잠재 고객을 만나 직접 인터뷰하고 그들의 환경을 체험 및 관찰
- 사전 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프로젝트의 잠재적 고객 모습을 반영해 핵심 조건을 포함하는 대상자 조건을 도출
- 대상자 조건 도출
- 20~30대 싱글 여성
- 출퇴근으로 인해 집을 비우는 시간이 많은 직장인
- 최근 1~3세의 반려 고양이를 입양한 반려인
- 콘텐츠 생산과 소비가 많은 SNS 사용자
- 문제점 발견
- 집을 비웠을 때 혼자 있을 고양이에 대한 걱정을 줄이고 싶다.
- 비만이 되기 쉬운 고양이에게 자연스럽게 운동시키고 싶다.
- 퇴근하고 피곤할 때 고양이와 놀아주는 활동을 손쉽게 해결하고 싶다.
- 1인 가구로 자취방이 좁아 어울릴 수 있는 디자인이 필요하다.
분석하기
- 요구사항 반영
- 고양이가 혼자 있을 때도 놀 수 있는 반응형 제품
- 고양이의 운동량을 늘리기 위한 활동적인 움직임 유도
- 거리나 위치와 상관없이 고양이와 놀아줄 수 있는 편의 제공 필요
- 1인 가구를 고려한 디자인으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
- 세부 영역에 대한 질문
- 어떻게 하면 반려 고양이 혼자서도 장난감을 가지고 놀 수 있을까?
- 어떻게 하면 반려 고양이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장난감을 만들 수 있을까?
- 어떻게 하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한 장난감을 디자인할 수 있을까?
- 비즈니스 관점의 질문
- 판매 수익을 올릴 수 있을지에 대한 여부
- 고려 중인 시장의 현재 환경
- 사업화를 타진해볼 접근 가능한 기본 수요
- 보유한 기술을 통한 제품화 가능 여부
발상하기
- 아이디어 도출
- 핵심 요소를 기반으로 아이디어를 가능한 많이 도출
- 그림으로 표현하여 시각적으로 판단
- 도출된 아이디어 + 현실 제약 반영
- 아이디어 자체에 너무 집중한 것은 아닌지
- 핵심 요소와 발견점이 반영되었는지
- 적용한 기술이 사람들에게 어떤 가치를 줄 것인지
- 현실적인 접근이 가능한지
- 반드시 반영되어야할 요소 도출
- 혼자 놀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한 반응형 제품 설계
- 고양이의 운동량을 늘리는 움직임이 있는 동적인 파트 구현
- 위치와 거리의 제약을 줄여주는 리모컨 기능
- 디자인을 만족시키는 새로운 기판, 3D 프린팅을 통한 개인화 등의 요소 고려
제작하기
- 프로토타이핑
- 빨대와 종이 등으로 구현해 손쉽게 확인하고 빠르게 수정하는 데 초점
- 아두이노로 동작 구현 방법을 확인해 세부 움직임을 잡아나감
- 종이로 다양한 시안을 실험하고, 개선하는 작업을 반복
- 원하는 움직임을 제공하면서 회로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디자인 확인
- 피드백 수용
- 실제 환경에서 사람과 고양이가 어떻게 사용하는지 확인하고 고객의 반응은 어떤지 비교
- 피드백을 반영해 제품을 좀 더 발전된 모습으로 구현
- 제작 방식 등 상품화 관점에서의 가능성을 확인
성장하기
- 크라우드 펀딩 진행
- 하드웨어 기반 프로젝트를 다수의 고객에 전달하려면 많은 단계가 필요
- 자재 구매 -> PCB 제작 -> 금형 제작 및 사출 -> 수량 및 가격 판단
- 유료 고객 및 시장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크라우드 펀딩 진행
- 사람들의 반응 및 지표 확인
- 플랫폼 가이드와 소셜 공유에 적합한 동영상 제작
-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등에서 활용
- 광고 게시물은 두가지 형태로 제작한 뒤 반응과 조회수가 더 높은 내용을 확인해 유료 광고 운영
- 유입 채널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기반으로 펀딩 추이 확인
- 중요 시점에 추가 홍보 및 이벤트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