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정리 4
153-181p(28p)
하향식 접근의 함정
- 전문가는 언제나 탑다운으로 깔끔하게 생각할 것이다라는 믿음
- 잘 정의된 문제(well-defined)에서 적용된다.
- 실생활에서 마주할 수 있는 문제는 대부분 잘 정의되지않은 문제(ill-defined)이다.
- 전문가들은 잘 정의되지 않은 문제의 경우 탑다운과 바텀업을 섞어 쓴다.
- 페닝턴의 ⌜프로그래밍에서의 이해 전략⌟ : 성과가 높은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의 비교
- 프로그램을 이해할 때 고수는 상호 참조 전략을, 하수는 그렇지 않은 모습을 보인다.
- 상호 참조 전략이란, 프로그램을 연구하면서 프로그램을 이해한 것을 도메인 어휘로 번역, 이후 프로그램 상의 어휘로 다시 바꿔서 검증하는 전략을 의미한다.
- 뛰어난 팀들의 공통적인 특징 : 삼투압적 의사소통
- 한번에 처리되는 일의 양(batch size)를 줄이고, 지속적 흐름(continuos flow)을 만들어 짧은 시간 내에 탑, 바텀을 오가게 하는 방법이다.
- 이를 테면 프로그래밍 중에 모르는 것을 질문하고 팀원으로부터 피드백 받는 것을 실시간으로 하는 방법이 있다.
- 이는 물리적으로 위치가 가까울 때 유리하다.
- 제시 제임스 개럿의 ⌜사용자 경험의 요소⌟ : 웹 개발의 추상화 단계와 우리의 잘못된 믿음
- 전략, 범위, 구조, 뼈대, 표현/비주얼로 나뉘며 우리는 다음과 같은 잘못된 믿음을 가질 수 있다.
- "전략이 깔끔히 완료되고 나서야 범위(무슨 기능이 들어갈지 결정)를 정하고, 다음에 구조(기능들을 어떻게 연결할지, 흐름은 어떻게 될지, 사이트 구조 등)를 정하고, 거기에서 뼈대(화면에 어떤 요소들이 대략 들어가야 하는지, 배치는 어떤지)가 나오고, 마지막에 이르러서 비주얼 디자인에 도달할 수 있다."
- 하지만 사실은 이와 다르며, 더 높은 품질을 얻기 위해서는 이 사다리를 오르락 내리락 반복하는 것이 필요하다.
- 개발 또한 분석, 설계, 구현, 테스트, 전개를 1년 이라는 프로젝트 기간에 얼마씩 배치할까 고민하지말고 어떻게 해야 처음부터 빠른 기간 내 모두 왔다갔다 할 수 있을지를 고민해야한다.
전문가 팀이 실패하는 이유
- 울리의 연구 : 특정 전문가로 구성된 팀과 협력 개입 비교
- 전문가들을 모아서 팀을 만든다고 잘하는 것이 아니다.
- 오히려 성과가 떨어질 수 있으며 정보를 공유하고 협력을 잘하기 위해 명시적인 도움이 필요하다.
- 소셜 스킬 등 뛰어난 제너럴리스트가 있으면 도움이 된다.
- 분더스 등의 연구에서는 팀 내 개인 다양성(intraper-sonal diversity)이 높은 멤버가 없다면 전문가로 구성된 팀은 정보 공유가 안돼서 성과가 떨어질 수 있다는 분석을 하였다.
- 개인 다양성이 높다는 것은 다양한 분야를 경험한 제너럴리스크 같은 사람을 뜻한다.
- 구글의 아리스토텔레스 프로젝트 : 뛰어난 팀의 특징
- 팀에 누가 있는지(전문가, 내향/외향, 지능 등) 보다 팀원들이 서로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자신의 일을 어떻게 바라보는지가 훨씬 중요.
- 5가지 성공적 팀의 특징 중 압도적으로 높은 예측력을 보인 변수는 팀의 심리적 안정감(내 생각이나 의견, 질문, 걱정, 혹은 실수가 드러났을 때 처벌받거나 놀림받지 않을 거라는 믿음)
- 팀 토론 등 특별히 고안된 활동을 통해 심리적 안전감을 개선할 수 있었음.
쾌속 학습팀
- 학습 속도와 상관 없는 것
- 교육 배경이나 수술 경험 등은 학습 곡선의 기울기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 학습이 빠른 팀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였다.
- 팀원 선발 자체가 팀 내에서 협동적으로 이루어진다.
- 다른 사람과 협력을 얼마나 잘하는지, 새롭고 애매모호한 상황을 즐길 수 있는지, 자기보다 지위가 높은 사람에게도 자신 있게 의견을 제안할 수 있는지 등을 보고 뽑았다.
- 이는 곧 팀이 갖고 있는 역량이기도 하다.